[미디어펜=조한진 기자] 2023년 '계묘년' 들어 한국경제 전망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주요 교역국의 경제전망까지 어두워 해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주요 정책의 신속한 수립·집행을 통해 우리 경제 역동성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5명의 경제·경영 전문가(대학교수,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위원)를 대상으로 ‘2023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을 조사해 11일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 남산에서 도심 일대 주요 기업체 건물들이 보이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번 조사에서 저성장 우려가 제기됐다. 올해가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동의한다’는 전문가는 76.2%로 집계됐다. 또 전문가들이 전망한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1.25% 수준으로, 1.5~2.0% 구간에 있는 주요기관 전망치(기재부 1.6%, 한은 1.7%, OECD 1.8%, IMF 2.0%)를 밑돌았다.
올해 소비 및 투자전망에 대해서도 ‘작년과 유사하거나 둔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각 90.5%, 96.4%에 달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78.6%가 ‘작년과 유사 또는 둔화’를 예상했다.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도 주요기관 전망치를 밑돌았다. 전문가들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2.22% 수준으로 주요기관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하회했다. 주요 교역국들에 대한 경제전망도 부진했다. 미국 및 중국경제 전망에 대해 ‘작년과 비슷하거나 악화될 것’으로 답한 비율은 각 71.4%, 75%였다.
새해 우리경제가 직면한 경제분야 리스크로는 ‘고금리 상황’(24.5%)과 ‘고물가·원자재가 지속’(20.3%)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수출 둔화·무역적자 장기화’(16.8%), ‘내수경기 침체’(15%), ‘지정학 리스크(미-중갈등, 전쟁 등)’(13.8%)가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이후 우리나라를 이끌 먹거리 산업으로는 배터리(21.2%), 바이오(18.8%), 모빌리티(16.5%), 인공지능(10.6%) 등을 제시했다. 차세대 반도체가 계속해 우리 경제를 이끌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도 5.9%였다.
정부가 올해 중점을 두어야 할 경제정책 분야로는 ‘미래전략산업 육성’(2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자금·금융시장 안정’(23.8%), ‘경제안보·경제외교’(11.9%), ‘수출 확대’(9.5%), ‘산업·기업 구조조정’(8.3%) 응답이 뒤를 이어 단기 과제로는 자금·금융시장 안정이, 장기 과제로는 미래전략산업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올해는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해 주요 경제지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동시에 노동·규제·교육 등 주요 개혁과제에 대해 성과를 만들어 가야 하는 해”라고 말했다.
이어 강 본부장은 “결국 관건은 정부와 국회의 협력”이라고 전제하고 “협치를 통해 주요 정책들을 신속하게 수립·집행해 국민의 정치 불신을 해소하고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를 표현하는 키워드로 ‘심연(Abyss)’, ‘풍전등화’, ‘첩첩산중’, ‘사면초가’ 등의 단어를 꼽아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앨리스가 토끼굴에 빠진(Down the rabbit hole)* 것과 같이 우리 경제가 어둡고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져들 것이란 우려를 드러냈다.
전문가들은‘암중모색’(어둠 속에서 손을 더듬어 찾음), ‘중력이산’(많은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음), ‘경제와 사회의 회복탄력성’ 등 키워드를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대처 방향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