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요동치는 금융권②] 시중금리 인상 여파…취약계층 가계 빚 '비상'

2018-06-22 13:07 | 백지현 기자 | bevanila@mediapen.com

세계 경제가 점차 자신감을 회복하고,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지만 한국 경제만큼은 좀처럼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모습이다. 이 가운데 경제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금융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사태, 주택대출금리 인상, 채용비리 등으로 얼룩져 요동치고 있다. 본지는 최근 금융권의 주요 이슈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사태가 한국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진단해 본다. [편집자주]

[요동치는 금융권②] 시중금리 인상 여파…취약계층 가계 빚 '비상'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발 금리인상 흐름에 따라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가계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1500조원에 육박하는 국내 가계부채에도 상당한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커졌다.

사진제공=연합뉴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기준금리 상승으로 미국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이에 연동하는 국내 시장금리도 덩달아 상승하고 있다. 지난 15일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5월 잔액 기준 코픽스는 1.82%로 전월에 비해 0.03%포인트 올랐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역시 1.82%로 전월과 비교해 0.03% 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따라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 등 5개 은행의 잔액 코픽스와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0.01~0.03%포인트씩 일제히 상승했다.

국민은행은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를 3.49~4.69%에서 3.52~4.72%로 각 0.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NH농협은행도 0.03%포인트 상향해 각각 3.13~4.48%, 3.23~4.23%, 2.80~4.42%로 인상했다. 하나은행은 0.014%포인트를 상향한 3.063%~4.263%를 적용한다.

이처럼 금리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대출자의 변동금리 비중이 높은 것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은행 총 가계대출 신규 취급액 중 변동금리 비중은 76.8%에 달한다. 반면 고정금리 비중은 지난 4월 23.2%로 지난 2014년 1월(14.5%) 이후 가장 낮았다.

금리가 상승하면 소득 및 자산 대비 부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가구들을 중심으로 고위험가구로의 편입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3월 말 위험가구 수는 127만1000가구로 전체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의 경우 전체의 3.1%인 34만6000가구로 집계됐다.

위험가구는 원리금 상환비율(DSR)과 총부채/자산평가액(DTA)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부실위험지수(HDRI)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고위험가구는 위험가구 중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능력도 취약(DTA>100%)한 가구로 정의된다.

금리상승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의 비중은 전체 부채가구의 3.5% 오르며, 2%포인트 상승하면 4.2%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비중도 5.9%에서 각각 7.5%, 9.3%로 상승했다.

대출금리 상승 시 가구 수는 소득 2~3분위에서, 금융부채는 소득 4~5분위에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올랐을 때 특히 채무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취약계층이 직격탄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며 “이들은 금리가 높고 변동금리를 주로 취급하는 비은행권 금융기관을 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이자부담에 어려움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