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완성차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위기를 맞이한 가운데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본격화된 가운데 여전히 노조는 처우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불확실성이 커지며 최악의 상황을 짐작조차 못하고 있지만 노조측은 올해에도 임금인상을 비롯해 자신들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있는 모양새다.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최악을 대비해 임금동결을 한 것과는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완성차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위기를 맞이한 가운데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본격화된 가운데 여전히 노조는 처우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DB
이에 추석전 타결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는 임단협이지만 올해역시 교섭 타결까지 순탄치 않은 여정이 예상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는 지난 19일 올해 임단협의 첫 본교섭을 가졌다. 또한 이날도 본교섭을 이어가며 협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13일 열린 상견례를 시작으로 올해 임단협에 돌입했다.
노조는 지난달 열린 대의원대회에서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기본급 12만304원(정기 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전년도 당기순이익(3조1856억원)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안으로 확정했다.
이와 함께 노조는 시니어 촉탁 처우개선 및 연장 확대, 전기차 전용 생산 공장 건립, 고용보장을 위한 국내 공장 생산량 유지 등을 별도 요구안에 포함했다.
노조는 지난 18일 소식지를 통해 "상반기 코로나19와 싸우며 영업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조합원의 노력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사측은 조합원의 사기진작 차원에서라도 '줄건 주고 하반기에 더욱 생산에 매진하자'라고 제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올해 임단협은 코로나19 여파로 예년보다 3∼4개월가량 늦게 시작했지만, 노사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추석 전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 임단협 타결이 기아차를 비롯해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임단협 방향성을 결정하는 만큼 최대한 빨리 끝낸다는 각오다.
기아자동차 노사는 오는 27일 열리는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단협 교섭을 본격화한다. 기아차 노조 역시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기본급 12만304원(정기 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전년도 영업이익(2조97억원) 30% 성과급 지급을 골자로 하는 요구안을 확정했다.
또한 기아차 노조는 전기차·수소차 전용라인 배치 및 핵심부품 생산, 부품사 단가 인상, 정년 연장, 노동이사제 등을 요구하는 한편 소하리, 광주 공장 등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요구도 별도 요구안에 담았다.
한국지엠 노조는 기본급 12만304원(정기 호봉승급분 제외) 인상에 통상임금의 400%+600만원을 성과급으로 요구했다. 또한 생산장려수당 지급범위 확대와 조립라인 설비투자 및 T/C수당 500% 인상 등도 요구안에 포함했다.
르노삼성 노사도 교섭을 진행 중이지만 첨예한 입장 차이로 아직까지 큰 진전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속노조 소속이 아닌 르노삼성차 노조는 기본급 7만1687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노조는 임금 피크제 폐지, 휴가비 20만원 인상, 라인수당 조정,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XM3 성공 론칭 격려금 500만원, 타결 격려금 200만원 등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2년 동안 임금 동결을 감수한 만큼 올해는 인상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노조의 무리한 요구는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는 완성차 업체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완성차 업체들의 상반기 글로벌 판매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5%나 감소한 상태다. 이 기간 현대차의 경우 25.2%나 줄었고, 기아차는 14.1%, 르노삼성은 21.2%, 한국지엠은 28.2% 감소했다.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비주력 자산 매각에 나서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형편이다. 본사인 제너럴모터스(GM)와 르노그룹 차원의 비용 절감 압박도 심해지면서 임금 등 고정비 부담이 늘어날 경우 해외판매 물량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속한 현대차그룹도 유동성 위기에 대비해 긴축재정 및 현금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지난 4월부터는 임원 전원이 급여 20%를 반납하고 있다.
교섭이 난항을 겪어 노조가 파업에 나설 경우 상황은 더 악화된다. 그나마 하반기부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경제활동이 재개되며 침체 일로였던 수출 시장이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5월을 기점으로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 판매 감소폭이 완화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수요 회복에 대응해 생산 확대에 나설 수 있도록 여름휴가기간 단축, 주당 근로 52시간제 한시 면제, 특별연장근로 조건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조 파업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한다면 실적 회복이 요원해짐은 물론, 글로벌 경기 회복 국면의 기회를 해외 경쟁사들에게 내줄 수밖에 없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회사가 생존의 기로에 놓인 상황에서 오히려 평시보다 더 무리한 임금인상 요구를 한다는 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면서 "지금은 임금을 올려받기보다는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노사가 합심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한편 쌍용자동차 노사는 지난 4월 완성차 5사 가운데 가장 먼저 올해 임단협을 마무리했다. 회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 모두 경영정상화를 최우선으로 추진하는 데 뜻을 모은 결과다. 이로써 쌍용차는 2010년 이후 11년 연속 무분규 기록을 달성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