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완성차 업계의 전기차 법인 수요 공략이 눈길을 끈다. 강화된 환경규제와 이제는 필수가 된 ESG경영으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완성차와 물류회사의 공생 전략으로 풀이된다.
온실가스 배출이 높은 분야로 지목된 운송 분야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기차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3기에 접어들며 배출 총량이 현격이 줄어든다. 이에 기업들은 온실가스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우체국 우편물류 운송차량으로 시범 운영하기 위해 선행 개발한 마이티 전기차의 모습.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또한 법인수요고객은 회사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효과도 누릴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에도 전기차의 중요 시장으로 꼽힐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엠은 순수 전기차 쉐보레 '볼트EV' 380대를 6월까지 롯데그룹에 공급하기로 했다. 롯데그룹에서 종합 렌탈 사업을 담당하는 롯데렌탈이 차량을 소유하고, 식품 계열사인 롯데푸드에 장기 대여하는 형태다.
롯데푸드는 전체 영업사원에게 볼트EV를 업무용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는 업무용 차량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롯데렌탈은 그룹의 ESG경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롯데푸드 관계자는 "친환경성은 물론 넉넉한 1회 충전 주행 거리,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과 빠른 충전 속도, 적재 능력 등 업무용 차량으로서 적합한 요소를 두루 검토한 끝에 쉐보레 볼트EV를 채택하게 됐다"라고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전기 트럭을 앞세워 법인 수요를 공략 중이다.
현대차는 우체국물류지원단과 협업해 7월부터 중형 트럭 '마이티 전기차'를 우편물류 운송 차량으로 1년간 시범 운영한다. 마이티 전기차는 현대차가 향후 브랜드 최초로 선보일 중형 EV 트럭이다.
마이티는 국내 물류운송에 가장 많이 운행되는 중형 트럭이다. 현재 우체국물류지원단에서 운용하는 마이티 트럭은 총 250여 대다. 우체국물류지원단은 디젤엔진을 얹은 기존 차량을 전기차로 점차 전환할 계획이다.
쉐보레 순수 전기차 볼트EV가 롯데푸드에 업무용 차량으로 도로를 달린다. /사진=한국지엠 제공
기아는 올해 CJ대한통운에 전기 트럭 봉고3 EV 28대를 공급한다. 이로써 CJ대한통운은 기존에 운행 중인 차량을 포함해 총 34대의 전기 택배차를 보유하게 된다.
CJ대한통운은 직영 택배기사가 운용하는 택배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고, 향후 친환경 차량 도입을 확산할 예정이다.
완성차 업계의 이같은 행보는 유통·물류 업체들의 니즈와 함께 이를 통한 큰 홍보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대응하고 있다.
매출부분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전기차의 생산단가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배터리이고 이를 납품받는 완성차 업체들의 입장에선 큰 이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법인수요를 통해 전기차의 저변확대와 함께 홍보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완성차 업계에 인기있는 차가 더 큰 인기를 구가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눈에 많이 띤 만큼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이는 향후 잠재적 고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무엇보다 이런 법인 수요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각 기업들의 전략이다. 올해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된지 7년차에 접어들었다. 3차 시행 구간에 들어섰다. 기존 1·2차 계획구간에서 보다 엄격해진 규제가 적용되고 대상기업 역시 대폭 증가한다.
3차 시행구간에 대상기업으로 물류 회사들이 포함되지는 않지만 배출가스가 많이 나오는 업종으로 거론되고 있는 만큼 해당 규제에서 자유롭지는 못한 상태다.
이에 업체들은 자의든 타의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노력중인 만큼 물류분야에서도 전기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역시 수소연료전기차를 언급하며 미래친환경성 강화에 일조하겠다는 언급한 바 있다.
특히 정부가 2030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를 24% 감축하겠다는 목표 아래 완성차 제조사의 '자동차 평균 온실가스 연비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이사 부회장(왼쪽)이 택배기사에게 전기화물차를 인도하는 차량전달식을 가지며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제조사는 10년간 단계적으로 강화될 온실가스 배출량을 충족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내연기관차 판매를 줄이고 더 많은 친환경차를 팔아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업계는 '친환경차 크레딧'을 활용해야 한다. 친환경차 1대를 팔 때 내연기관의 판매 대수를 늘려주는 제도로, 제조사가 전기차 1대를 팔면 더 많은 내연기관차 판매가 허용된다.
내연기관차를 팔아 수익성을 유지해야 하는 제조사 입장에서는 법인에 판매되는 전기차 물량이 소중할 수밖에 없다.
이에 완성차 업계는 법인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전용 서비스도 내놓고 있다. 현대차는 전기차를 구매하는 법인 고객에게 특화 서비스 'EV Charge Solution(EV 충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법인 고객에게 충전기를 무상으로 대여해주고, 관리와 충전 비용 부담까지 해소해주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법인 고객에게는 급속(100kW) 또는 완속(7kW) 충전기를 별도 비용 없이 설치해주고, 약정기간 무료로 대여해준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기차의 법인고객을 통해 시장의 저변확대를 기대할 수 있고 당장의 수익과는 연결되지 않지만 미래시장의 큰 홍보효과를 볼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며 "더욱이 강화된 환경규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완성차 업계의 전기차 법인고객 확보를 위한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만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