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올해 상반기 해외 자동차 판매량이 지난해 상반기 보다 30% 가량 증가하며 'V'자 반등에 성공했다.
19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2021년 상반기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수출을 위해 평택항에 대기중인 자동차./사진=미디어펜
올해 상반기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멕시코, 러시아, 브라질 등 해외 시장 판매량은 2857만대로 전년 상반기 대비 전년비 30.6% 늘었다.
3104만대였던 2019년 상반기 판매량은 작년 상반기 2189만대로 급감한 뒤 올해 2857만대로 다시 증가했다.
KAMA는 "해외 주요시장은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정상 상황이었던 2019년과 비교하면 8.0% 감소한 수준으로, 코로나19 영향으로부터의 회복은 아직 진행중"이라고 진단했다.
시장별로 증가율은 인도(95.2%), 러시아(38.2%), 미국(29.3%), 중국(27.5%), 유럽(27.1%), 브라질(26.3%), 멕시코(18.1%) 순으로 나타났다.
인도 시장은 작년 전국봉쇄에 따른 판매 급감 기저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별 다양한 신차 출시로 2019년 판매량보다 1.5% 증가했다.
미국 시장은 백신 보급 본격화, 정부 경기부양책 등의 효과 등으로, 중국시장은 EV(전기차) 등 신에너지차(NEV) 판매량 급증(217.4%)에 따라 2019년 상반기 판매량에 근접했다.
유럽 시장은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강화, 브라질은 차량용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약 10~12만대) 등의 영향으로 판매 회복이 일부 제한돼 2019년 수준에 크게 미달(23.0%↓)했다.
메이커별 해외 판매량은 아시아계(한국·중국·일본계)의 점유율이 작년 47.8%에서 50.6%로 증가한 반면 미국계와 유럽계의 시장점유율 합산은 작년 50.1%에서 46.7%로 감소했다.
중국계는 내수 중심으로 EV 업체를 비롯한 로컬브랜드가 성장했고, 한국계는 최근 SUV 및 전동화 모델 시장 수요에 맞는 빠른 라인업 확충으로 미국·유럽·인도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했다.
일본계도 미국시장 중심으로 해외 주요시장 점유율은 소폭 증가했으나, 전기차(EV) 성장세가 뚜렷한 유럽시장과 중국시장 내 점유율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계는 반도체 부족 영향을 가장 크게 겪고 있어, 자국인 미국시장에서 판매 증감률(15.5%↑)이 한국계(48.1%), 유럽계(42.6%), 일본계(38.4%)보다 낮게 나타났다.
유럽계는 전동화 모델을 확대하고 있음에도 불구, 최대 EV 시장인 중국에서 판매 증가율이 13.7%에 그쳤다. 이는 중국에서 미국(테슬라), 중국 브랜드에 점유율을 일부 내준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내연기관차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미래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급망 내재화, 인프라 및 보조금 지원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다.
EU의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 미국 바이든 정부의 내연기관차 규제 강화 등 주요국은 전기동력차로의 전환을 강제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배터리, 반도체 등의 핵심 공급망 투자에 세액공제율 확대와 보조금 지급, 전기·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예산도 확대하고 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가 작년 코로나19 이후 침체에서 회복되는 과정중에 있어, 우리의 생산량 증대를 통한 세계시장 점유율 지속 확대를 위해서는 노동유연성 강화와 전기동력차 등 미래차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미래차 R&D 투자와 관련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와 데이터 수집·활용 규제완화 등 지원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