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전국의 농가인구는 꾸준히 감소하는 반면, 귀농.귀촌 인구는 증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이제는 귀농.귀촌 정책도 단순한 '양적 확대'보다 '안정적인 정착 지원'으로 바뀌는 추세다.
특히 농업인 육성은 이제 농촌이 아닌 도시에서 해야 한다면서, 예비 귀농인을 위한 도시 교외의 실습농장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경기도 산하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보고서 '농업인 육성, 이제는 농촌이 아닌 도시에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개편된 귀농귀촌 종합센터 홈페이지/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농가인구는 지난 2010년 306만 3000명에서 2019년에는 224만 5000명으로, 26.7% 감소했고, 경기도는 같은 기간 41만 2000명에서 28만 2000명으로 31.6% 줄었다.
반면 귀농.귀촌 인구는 2013년에서 지난해 사이 전국 기준 41만 6000명에서 49만명으로 17.7% 증가했고, 경기도의 경우는 11만 1100명에서 15만 2800명으로 37.5% 늘었다.
경기도가 농가인구 감소도, 귀농.귀촌 인구 증가도 다른 지역보다 더 빠르고 가파른 셈이다.
귀농은 농어촌 이외 거주자가 농업인이 되기 위해 농촌으로 이주한 경우고, 귀촌은 농촌으로 이주했지만 농업인은 아닌 케이스다.
이에 따라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귀농.귀촌 정책을 양적 확대 위주에서, 성공적 정착 지원으로 전환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농업 창업에 억대의 창업 비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귀농인들은 기존 농업인에 비해 농작업 참여 역량 미흡, 농촌 네트워크 부족 등으로 각종 위험 요인에 취약하다고 밝혔다.
또 주말에만 농촌에 거주하거나, 토지를 직접 경작하지 않고 대리 영농을 하는 등, 귀농인과 귀촌인 간 정체성이 모호, 정책 추진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귀농인을 전문농업인으로 육성하는 정책으로, 예비 귀농인이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약 3년 정도, 전문적인 농작물 재배 기술 및 농업경영 실습 기회를 부여해, 농촌 현장 적응 능력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연간 2000만원 내외의 농업소득 창출을 목표로, 실습농장을 1시간 수준의 출퇴근이 가능한 도시 근교에 600~1600㎡ 규모로 조성하자고 제언했다.
덮어놓고 농촌으로 이주하게 하는 것보다 먼저 전문농업인이 된 후 귀농할 수 있도록, 도시 외곽에서 먼저 경험을 쌓게 하자는 것.
아울러 귀농과 귀촌의 개념을 명확히 정리, 귀농은 전문농업인 육성, 귀촌은 농촌마을의 활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다는 건의를 내놓았다.
귀농과 귀촌을 농업의 참여 여부보다, 주요 소득원으로 선택해 생업의 수단으로 활용하는지 여부로 구분하다는 얘기다.
이수행 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도시에서 출퇴근이 가능한 1시간 내외 지역에 귀농 실습농장을 운영한다면,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국내 후계농업인 양성의 '사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