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정부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지수 편입 의지를 천명한 가운데, 편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매도 전면 재개’ 조건이 다시 증권가의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MSCI선진지수 편입에 성공하면 대규모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순유입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나오는 한편 공매도 재개로 인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를 감안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함께 제기된다.
'MSCI 선진지수' 편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매도 전면 재개’가 다시 증권가의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25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와 관련 “외환거래시간 연장, 해외기관 외환시장 참여 허용 등 외환시장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른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한국 주식시장의 체질을 개선시켜 나가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MSCI는 최초로 국제 벤치마크 지수를 만든 기업으로,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와 함께 글로벌 양대 지수사업자로 손꼽힌다. 지난 2020년 말 기준 MSCI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 자금은 14조5100억달러(약 1경7393조원)로 추산된다. 쉽게 말해 이 금액이 MSCI가 내놓는 지수를 그대로 따라서 기계적으로 주식을 사거나 판다는 의미다.
현재 한국은 신흥국지수에 포함돼 있다. 선진국지수로 편입되는 것은 마치 미국야구 마이너리그에서 메이저리그로 승격되는 것만큼이나 차이가 커진다. 신흥국지수를 추종하는 자금은 2조4050억달러인데 반해 선진국지수를 벤치마크로 활용하는 펀드 자금은 물경 12조1050억달러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한국이 선진국지수로의 편입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경우 수십조 원의 자금이 자동적으로 국내 증시에 유입되는 효과가 생길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곳은 다름 아닌 골드만삭스다.
이들은 지난 14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한국이 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되면 440억달러(약 53조원) 이상의 해외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며 “2년 내 (선진지수 편입 및 코스피 상승 선결 요건이) 충족되고, 이익이 매년 10%씩 증가한다면 코스피는 4500에 도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주가지수 4500’ 목표를 천명하면서 인용한 보고서도 바로 이것이었다.
물론 낙관론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유진투자증권은 28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더라도 단기간 주가지수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재환·강송철 연구원은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 실현되더라도 적용까지 2년 이상 시간이 걸리고, 과거 사례의 주가 영향도 일관성이 없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MSCI 지수와 관련해서는 ‘한국적인’ 문제점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공매도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공매도 거래를 정지시켰던 우리 증시는 현재도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편입 종목에 한해서만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MSCI가 요구하는 ‘글로벌 스탠다드’ 안에는 공매도 전면 재개가 포함돼 있다고 입을 모은다.
대량의 패시브 자금 유입이라는 호재 앞에서도 투자자들이 이번 이슈에 민감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매도 재개와 MSCI 관련 이슈는 새 정부가 꾸려진 다음부터 탄력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악재가 터지면서 공매도에 대한 경계심이 다시 커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호의적인 여론이 형성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