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다빈 기자]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캐스팅보트로 떠오르고 있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 공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30세대들도 현 정권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내 집 마련이 더욱 힘들어지면서 각 후보들의 청년 부동산 공약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서울시에 들어설 예정인 한 청년주택 전경./사진=미디어펜
2일 각 국회 및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여야 각 대선 후보들이 젋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부동산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이번 대선은 젊치인(젊은 정치인), 이대남(20대 남성), 이대녀(20대 여성) 등의 신조어가 나오는 등 2030 청년층이 캐스팅보트 역할로 떠오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유권자 총 4419만7692명 중 2030세대 유권자는 20대 약 659만명(14.9%), 30대 약 667만명(15.1%) 등으로 전체 유권자의 30%에 해당한다.
먼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전국에 공급하겠다는 신규주택 수를 기존 250만가구에서 311만가구로 늘리고 이중 30%를 무주택 청년에게 우선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청년들의 주택 자금 마련을 위해서 '청년기본적금', '청년 특별 금융지원' 등을 통해 '청년 내 집 마련 프로젝트'를 시행할 것도 제시했다. 전세나 월세로 거주하는 청년들에게는 임대형 기본주택을 충분히 공급하고, 전세 보증금 및 월세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청년층의 주거 비용을 낮추고 중개수수료와 이사비 지원, 다가구 주택·오피스텔·원룸 등에서 불투명한 관리비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전세나 월세로 거주하는 청년들에게는 임대형 기본주택을 공급하고 전세 보증금 및 월세에 대한 세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5년 임기 동안 공급할 250만가구 이상의 주택 물량 중에 30만가구를 '청년 원가주택'으로 짓겠다고 약속했다. 청년 원가 주택은 무주택 청년가구에게 건설원가로 주택을 제공하는 분양 주택으로 원가주택은 분양가의 20%, 나머지 80%는 장기원리금상환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청년 원가주택은 3기 신도시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가까운 입지에 들어서게 되며 5년 이상 거주 후 매각을 원하면 입주자에게 시세 차익 70%를 보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윤 후보는 신혼부부 대상 LTV를 최대 80%까지 완화할 것을 공약했다. 이 후보와 마찬가지로 주택마련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 매월 70만원 한도 내 저축해 10년 만기로 '1억원 목돈 만들기' 등 금융 혜택을 지원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5년 임기 내 주택 250만가구를 공급하며 이중 100만가구는 토지임대부 안심주택으로 지은 뒤 50만가구를 청년에게 우선 공급하겠다고 했다. 도심 토지임대부 안심주택은 서울과 지역별 거점도시에 지어지며 초고틍 주상복합형 '청년 캠퍼스' 형태로 공급할 것을 약속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이전 대상 공공기관 부지를 활용해 수도권에 최대 25만가구의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생애 첫집 프로젝트'를 내놨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부지에 청년과 사회초년생 1~2인 가구를 위한 공공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또 최저주거 1인단 면적을 현재 14㎡에서 25㎡로 상향해 주거의 질을 강화시키겠다고도 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현 정권의 부동산 정책 실패가 준 타격이 청년층에게 특히 더 큰 만큼 각 후보들이 청년표심 잡기에 부동산 공약을 이용하고 있다"라며 "예정된 주택 공급량이 실효성이 있는지, 금융혜택, 장기임대 등이 청년들에게 장기적으로 이로울 지 잘 따져보아야 한다" 말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