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서울 아파트 2030 매수세 '최저'…고점인식에 금리부담

2022-08-03 13:39 | 이다빈 기자 | dabin132@mediapen.com
[미디어펜=이다빈 기자]가격 고점 인식이 확대되고 기준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주택 마련 자금 중 대출의 비율이 높은 2030세대의 주택 매수 심리가 얼어붙었다. 집값 상승 불안감에 주택 구매를 서두르는 '패닉바잉(공황구매)'을 보였던 지난해와 상반되는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 중 2030세대 매입 건수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 강남 지역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3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전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 2014건 중 2030세대(20대 이하 포함)의 매입 건수는 49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 건수의 24.8% 수준으로 매입자 연령대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 중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은 지난 2019년 30% 안팎을 유지하다가 2020년 8월(40.3%)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지난해 7월에는 전체 거래 건수의 절반 가까운 44.8%의 매입자가 2030세대에서 나왔다. 이는 계속되는 집값 상승 불안감에 주택 구매를 서두르려는 수요 심리가 청년층의 '패닉바잉'으로 이어진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2030세대의 거래 비중은 올해 거래 가뭄을 겪으면서도 3월(40.7%), 4월(42.3%)에 40%를 상회했다. 한국부동산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총 9931건으로 지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한 이래 상반기 최저치를 보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2만9399건)과 비교해도 66%나 감소한 수준이다. 매매량이 가장 많았던 2015년(6만8043건)에 비하면 15%에 그친다.

2030세대 거래 비중은 5월 들어서 37.4%로 꺾이더니 6월 24.8%까지 눈에 띄게 줄었다. 서울 아파트 가격 고점 인식이 확산하고 있는 것과 함께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빅스텝'을 단행하며 상대적으로 주택 마련 자금에서 대출의 비중이 높은 청년층들의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이 낮은 지역은 성북구로 이들의 비중은 전체의 21.8%에 불과했다. 뒤를 이어 강남구(24.9%), 서초구(25.8%), 중랑구(26.9%), 동작구(29.3%), 강북구(33.3%) 등 순으로 2030세대의 매수 비중이 낮았다. 성북구의 경우는 올해 서울에서 집값 하락세가 가장 가파른 지역이다.

수도권 내에서 인천(31.7%)과 경기(31.8%)도 기존 추세에 비해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6월 들어 감소했지만 서울만큼 큰 폭으로 떨어지진 않았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는 12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에 따르면 지난주(7월 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85.7)보다 0.7포인트 내린 85.0을 나타냈다. 서울 5개 권역 중 강남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를 포함한 동남권을 제외하고 전부 지수가 하락했다. 동남권은 91.9로 지난주와 동일했다.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등이 있는 서북권은 전주 79.1에서 78.6으로 내려 서울 권역 중 매수 심리가 가장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노·도·강'(노원구·도봉구·강북구) 지역이 포함된 동북권은 전주(80.3)에서 1.4포인트 떨어진 78.9를 기록하며 70선으로 내려 앉았다. 용산구·종로구 등이 포함된 도심권역은 83.2에서 81.4로 1.8포인트 내렸고 영등포구·양천구 등이 속한 서남권 역시 전주 90.0에서 89.7로 떨어졌다. 

이와 함께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89.6과 87.4로 0.4포인트, 1.1포인트씩 떨어지면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8월부터 생애최초 주택구매자에 대한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80%로 확대됐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주택 매수 심리가 자극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지난해에 비해 젊은 층의 '영끌' 수요가 낮은 상황은 물가 인상, 경기 불확실성 등 거시적인 변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