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서울시가 지난 8월 폭우를 계기로 방재목표 기준을 10년 만에 상향하고,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 기반의 지능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한다.
시간당 100mm의 폭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서울시는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를 감안, 10년간 총 3조 5000억원을 투입해 이 같은 내용의 '수해안전망 추진전략'(2022~2032)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우선 지난 2012년부터 서울 전역에 동일하게 적용 중인 '방재성능목표'(시간당 처리 가능한 최대 강우량)를 10년 만에 시간당 95㎜에서 100mm로 높이고, 침수취약지역인 강남역 일대는 110mm까지 상향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모든 방재시설은 시간당 100∼110mm의 폭우에도 견딜 수 있도록 구축된다.
상향된 방재성능목표와 달라진 지형 등은 연말까지 서울시 '재해지도'에 반영되며, 지역별로 목표치도 세분화해 각 지역의 호우 빈도·침수 면적·유동인구·하천 처리 능력 등을 고려, 방재성능 목표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중점관리지역은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더 촘촘한 수해안전망 추진 전략/사진=미디어펜
또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설치는 1단계로 강남역, 광화문, 도림천 일대에 오는 2027년까지 우선 설치하고, 2단계로 사당역, 용산, 길동 일대를 2032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더불어 2조원을 투자, 상향된 방재 목표에 맞춰 방재 기반 시설을 개선한다.
빗물이 흘러가는 통로인 하수관거 598㎞ 정비에 1조 2000억원, 빗물펌프장 18곳 증설에 3526억원, 총 9만 4000t 규모의 신림동·신영동 빗물 저류조 신설에 641억원, 도림천·오류천·사당천 등 하천 단면 확장에 281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빗물을 머금는 물순환시설 용량은 2040년까지 2배 이상 확대하기 위해 기존 빗물받이를 침투형으로 교체하고, 도심 내 교통섬과 녹지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 그린댐'을 시범 설치한다.
또 빅데이터, IoT 등 첨단 기술 기반의 지능형 수방시스템을 구축, '대피 골든 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 반지하주택 등의 침수 상황을 IoT 감지기로 파악, 문자 등으로 대피 경고를 하는 '스마트 경고시스템'과 주거지역에 대한 '침수 예·경보제'를 내년 시범 도입한다.
아울러 2030년까지는 인공지능(AI)으로 수방 관련 데이터를 자동 분석·예측하는 수방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
반지하 등 침수 취약가구에 대한 안전대책도 강화, 장애인과 홀몸 노인 등 긴급 대피가 어려운 세대에 공무원을 일대일로 지정해 집중호우 시 대피와 복구를 돕고, 내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120억원을 투입, 전체 반지하 주택에 물막이판 등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무상 지원한다.
이와 함께 연말까지 침수우려지역 1만 곳에 맨홀 추 락방지시설을 설치키로 했다.
전 지하철역사 출입구에는 내년 5월까지 차수판(물막이판)을 설치하고, 모든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등에 물막이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법제화도 추진하며, 제도 개정 전까지는 용도변경 등 건축 인허가 시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조건으로 부여, 설치를 유도할 방침이다.
양수기는 쉽게 대여할 수 있도록, 내년 우기 전까지 1만 9000대를 동 주민센터 등에 비치할 예정이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기존 서울시 수방대책의 한계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한 일이지만 ,꼼꼼히 준비해서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