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한미일 외교장관이 오는 21~22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해 3자 공조를 과시할 전망이다.
특히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취임 이후 첫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하는 것으로, 이번 G20 회의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한미 및 한일, 한미일 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크다.
우선 한미일 3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고조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새해 들어 서해 완충구역에 대한 포격사격을 비롯해 탐지 및 요격이 쉽지 않은 순항미사일을 잇달아 발사하며 한반도 긴장수위를 높이고 있다.
여기에 북한은 18일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에 대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지정학적 대결 각본”이라고 비난했다. 외무성 연구사의 주장으로 노동신문에 실린 것이지만, 최근 러시아와 군사적으로 밀착하며 ‘반미 연대’에 나선 상황이어서 주목된다. 이런 상황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17일 뮌헨안보회의에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면 당사국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해결해 형세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미일 협력(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사진=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이 그동안 북한과 접촉해온 결과를 이번에 공유하고 북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지도 주목된다. 앞서 지난 15일 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일본이 정치적 결단을 내린다면 얼마든지 두 나라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수 있다”면서 “핵·미사일·납치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면 기시다 수상이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과 쿠바가 전격 발표한 수교체결에 충격을 받아 북일 관계 개선 가능성으로 맞불을 놓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북한이 실제로 국면전환용으로 기시다 방북을 밀어붙이고 한미일 3국 협력에 균열을 일으키려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본정부도 그동안 북한과 접촉을 지속해온 만큼 북일 정상회담 개최에 관심이 커보인다.
하지만 김여정 발언에 대해 일본정부는 즉각 납치 문제가 이미 해결됐다는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로서는 일북 평양선언에 따라 납치, 핵, 미사일 등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한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 어느 때보다 한미일 3국 공조가 강화된 현 상황에서 만약 기시다 후미오 일본총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다면 북일회담 의제가 3국 공조 틀을 벗어나선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서 다시 한 번 일치된 대북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한일 양자회담에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해법으로 제시한 제3자 변제안 해결책도 논의될지 주목된다. 우리정부가 지난해 3월 강제동원 해법으로 ‘제3자 변제안’을 발표한 이후 대법원에서 피해자 승소 판결이 지속되고 있지만 변제안 마련에 참여한 일본기업은 아직까지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의 재원이 부족한 상황으로, 조 장관은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일본 민간기업의 동참을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