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하나은행 산하 하나금융연구소가 내년도 한국 경제의 GDP 성장률 전망치로 2.1%를 제시했다. 내수 회복을 토대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도 올해보다 개선되는 동시에, 국제유가 하락, 원달러 환율 안정도 예상돼 우리 경제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나은행 산하 하나금융연구소가 내년도 한국 경제의 GDP 성장률 전망치로 2.1%를 제시했다. 내수 회복을 토대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도 올해보다 개선되는 동시에, 국제유가 하락, 원달러 환율 안정도 예상돼 우리 경제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하나금융연은 '2025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내수회복, 소비·투자의 점진적 개선을 토대로 내년도 한국경제의 GDP 성장률을 2.1%로 예측했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율도 각각 2.0%와 4.1%로 올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국제유가 하락과 원/달러 환율 안정이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민간소비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개선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소비심리는 금리 하락과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개선되며 살아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고령화와 가계부채 문제는 여전히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설비투자는 인공지능(AI)과 친환경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로 4.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와 ICT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실적이 유지되면서 투자 여건은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금리 하락과 원화 강세가 자금조달 여건을 개선시키며 설비투자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착공 및 인허가 등 선행지표 감소의 악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올해에 이어 역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내년도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축으로 정부의 재정효과를 기대하기도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은 IT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증가 속도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내년도 통관 수출이 4.9%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 등 대외 리스크가 수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경상수지는 수입의 확대, 서비스수지 악화 등으로 올해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자물가는 연평균 2.0% 상승해, 한국은행의 목표수준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유가 하락과 환율 안정이 물가 상승 압력을 줄일 것으로 보이는 데다, 기대 인플레이션도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이다. 다만 공공요금 인상과 이상기후에 따른 식료품 가격 변동성이 물가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은 내년에도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당장 △주요 교역국의 경기 둔화 △미·중 갈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외부 요인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시장에서는 '가계부채 문제'와 '고령화'가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유탁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 분쟁이 심화되거나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경우 한국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대내적으로도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내수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내년도 금융시장 여건은 한국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다만 '금융안정'이라는 이슈에 발목이 잡혀있는 만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두세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장금리(국고채 3년 금리 평균)는 올해 3.12%에서 내년도 2.57%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완중 선임연구위원은 "국고채 만기 전 구간이 이미 기준금리 3회 인하를 반영하고 있어서 향후 시장금리 낙폭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295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달러 약세와 양호한 경상수지 흐름에 힘입어 하락세(원화 강세)가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다만 거주자의 해외 투자 증가와 미·중 경기 둔화가 원화 강세 속도를 늦출 것으로 판단했다.
진옥희 연구원은 "미중 갈등과 엔 캐리 자금 추가 청산 등 잔존한 대외 불확실성 요인으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도 주택시장은 실수요 중심의 완만한 상승세가 예상된다. 수요자 측면에서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단계별 확대 △금융권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으로 차입여력이 축소될 수 밖에 없지만, 공급부족 우려로 매수심리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다주택자 규제가 유지되고 지방 미분양도 증가해 가격 상승기대감이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소위 '똘똘한 한 채' 선호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서진 수석연구원은 "실수요와 투자수요 모두 풍부한 수도권에서 아파트 입주물량이 이미 감소하고 있어 매수자가 체감하는 공급 감소가 더 클 것"이라며 "기준금리 인하가 개시되더라도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해 매수자의 실질 차입여력이 늘어나는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