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온스타일이 일부 유료방송 사업자에 대한 송출을 중단하며 업계 전반적으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홈쇼핑 사업자들은 일제히 모바일 사업을 키워 유료방송에 대한 의존도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이에 송출수수료 의존도가 높은 케이블 사업자들은 실적 악화하고 있다. 양측의 갈등 요인과 유료방송 사업자들의 대처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미디어펜=이승규 기자] 유료방송과 홈쇼핑 간의 곪아있던 갈등이 폭발했다. 최근 홈쇼핑 업계가 방송 사업체에 송출을 중단하는 사례가 늘면서 유료방송 업계 내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양측은 하루라도 빨리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유료방송 사업자와 홈쇼핑 사업자 간의 송출수수료 갈등은 매년 더욱 심해지고 있다. 최근 TV 시청자가 줄면서 홈쇼핑 업체의 유료방송 의존도가 낮아진 반면, 유료방송은 사업 다각화가 되지 않은 경우 송출수수료 의존이 더욱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출수수료는 홈쇼핑 사업자가 채널 송출의 대가로 유료방송사업자(IPTV·케이블·위성방송)에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다. 유료방송사는 송출수수료를 바탕으로 △시청자 확대를 위해 방송망 구축 △마케팅비용 지출 및 홈쇼핑 인접채널인 PP △지상파 등에 프로그램 사용료 지불 등 홈쇼핑사업환경 등을 제공한다.
양측은 수수료 지불과 관련해 첨예하게 대립 중이다. 송출수수료를 둘러싼 홈쇼핑 업계와 IPTV·SO(케이블TV, 유료방송 사업자) 간 분쟁은 지난 10여 년 간 반복된 문제다.
홈쇼핑 사업자들은 방송 산업이 침체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불하는 송출 수수료가 과도하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난해 방송 매출 대비 송출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넘어섰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TV 시청 관련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음에도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해당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송출수수료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 홈쇼핑 업계의 주장이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방송 매출 대비 송출수수료가 70%가 넘어선다는 부분은 너무 과장된 수치라고 반박했다. 이어 홈쇼핑 채널을 통해 발생하는 온라인·모바일 매출을 함께 집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V 기반으로 발생하는 모바일 매출 등을 포함한 전체 매출 기준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송출수수료는 36% 수준에 머무른다는 주장이다. 유료방송 업계는 송출수수료 협상 시 단순 TV시청 관련 데이터 뿐 만이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하는 편익(매출) 관련 데이터’ 공유를 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양측의 갈등은 성장이 둔화되며 더욱 심화되는 모양새다. 유료방송의 경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성장하고, 시장 자체가 성숙기에 들어서며 가입자 수가 둔화되고 있다. 또 홈쇼핑 사업자도 쿠팡 등 온라인 유통 플랫폼에 점유율을 뺏기는 실정이다.
최근 송출수수료 갈등은 홈쇼핑 사업자가 칼을 빼들며 점화됐다. CJ온스타일은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 등에 대한 송출을 중단했다. 이는 유료방송 사업자가 송출수수료와 관련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이외에도 현대홈쇼핑이 위성방송업체 KT스카이라이프에, 롯데홈쇼핑이 딜라이브 송출 중단을 검토한 바 있다. 다만 이들은 극적 합의에 이르러 블랙아웃은 면했었다.
홈쇼핑 사업자들이 과감한 결정을 내릴 수 있던 것은 사업구조를 '모바일' 시장에 분산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 이후 실적이 악화되자 홈쇼핑 사업자들은 사업 다각화를 위해 모바일 사업 진출을 꾀했다. 이들은 △온라인 쇼핑 서비스 강화 △숏폼 콘텐츠 기획 △자체 IP 육성 등을 진행하며, 유료방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갔다.
모바일 사업이 지속 성장하며 유료 방송 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다. 이에 홈쇼핑 사업자들은 송출수수료 인하로 인해 경영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업계 동향을 미뤄보았을 때 지금 당장 사태의 불씨가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양측 사업자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 우려를 표하면서도 어떤 조치를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다만 업계는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추후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캐시카우 중 하나인 송출수수료가 인하되면 실적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특히 의존도가 높은 SO·위성TV 사업자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사태에 관련 일을 키웠다는 비판 받는다. 사태 해결보다는 유료방송업자 증가 등 눈앞의 문제해결에만 몰두하는 등 양측의 근본적 갈등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또한 방송통신위원장의 긴 공백으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수개월째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며 사태를 키웠다.
학계는 정부가 하루라도 빨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사업자들 간의 수수료 문제인 만큼 정부가 개입해서 어느 쪽의 편을 들어주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정부나 방통위도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해 정책을 반영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송출수수료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방송산업 정책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자들의 매출 확대, 운영 효율성 개선 노력과 함께 기존의 각종 정책 규제를 해소해 갈등의 근본 원인인 시장 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라며 "홈쇼핑사의 경우 데이터홈쇼핑 생방송 허용, 화면비율 규제 폐지, 중소기업 상품 판매 비율 폐지 등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발언했다.
그는 이어 "유료방송사의 경우 채널‧요금 자율성 확대 등 글로벌 OTT와 경쟁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 필요하다"라며 "양측이 동반 성장을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이승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