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기후위기대응.탄소중립 트렌드, 국내 농축산업엔 ‘양날의 칼’

2021-04-16 11:35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전 세계적 트렌드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은 우리나라 농축산업에는 '위협요인'인 동시에 '기회요인'이 될수도 있는, '양날의 칼'이 될 전망이다.

농업.농촌에도 농약, 화학비료, 화석에너지 절감과 가축 탄소배출 및 분뇨에 대한 규제 등은 분명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면 친환경 농축산물, 재생에너지 등은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리기후협약 부활, 국제적 온실가스 감축 약속 이행과 기후변화, 환경문제 해결 차원에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선진국들은 국정 핵심과제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거나 준비 중이다.

우리나라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2050년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계획을 밝힌 후,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적극 참여할 것임을 공언해 왔다.

농림축산식품부 청사/사진=미디어펜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과정은 우리 농업.농촌에 위협임과 동시에 기회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우선 농약.화학비료.화석에너지 절감, 탄소배출 가축의 적정 사육마릿수 유지와 가축분뇨의 적정 처리 등, 탈탄소.친환경 농업으로의 전환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탄소배출 및 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농업용 면세유, 축산사료 부가가치세 면제 등 기존 정책지원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농업부문 생산성 및 성장성 정체, 식량자급률 하락, 농업소득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탈탄소.친환경 농축산물의 생산.유통.소비 체계로의 전환, 재생에너지 자립형 친환경 농촌 공간으로의 변화는 새로운 소득 및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우리 농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임정빈 서울대교수는 "정부는 '탄소중립형 지속가능 농업과 농촌' 구현을 목표로, 치밀한 전략과 계획을 마련해 궁극적으로 한국 농업.농촌의 새로운 발전과 도약의 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부터라도 농업계는 탄소중립 경제사회의 전환과정에서 나타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기회 요인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